본문 바로가기

아시아 히키코모리 현상, 한국의 고립·은둔 청년

J씨 바보 2024. 6. 1.

 

최근 미국 CNN은 **'줄어드는 삶: 왜 일부 아시아 청년들은 세상과 단절하나?'**라는 제목으로 아시아 각국의 히키코모리 현상을 심층 조명했습니다. 이 기사에서 한국은 19~34세 연령대 약 24만 4천 명의 고립·은둔 청년이 존재한다고 언급하며, 이는 일본 히키코모리 규모(150만 명)에 버금가는 수치입니다.
 
 

1. 한국 히키코모리 특징

한국 히키코모리는 일본 히키코모리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지만, 몇 가지 차별적인 측면도 존재합니다.
 
사회경적 요인: 한국의 고도로 경쟁적인 사회 분위기와 학업 중심주의 문화는 청년들에게 심리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사회 참여를 꺼리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장시간 노동과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는 부모들의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키고, 이는 가족 관계 악화 및 소외감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경제적 요인: 높은 청년 실업률과 불안정한 고용 시장은 청년들에게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심어주고, 이는 사회 참여를 꺼리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가계 부채 증가는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을 야기하고, 이는 청년들이 경제 활동에 참여하기보다는 가족에게 의존하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개인적 요인: 개인의 성격, 가족 환경, 학교 폭력, 트라우마 경험 등 다양한 개인적 요인들이 히키코모리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사회적 불안 장애, 우울증,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의 정신 질환은 히키코모리 발달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한국 히키코모리 심각성

한국 히키코모리는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개인적 차원: 히키코모리는 사회적 고립, 우울증, 불안 장애, 자살 위험 증가 등 심각한 정신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교육 및 취업 기회 상실, 사회적 기술 부족 등으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사회적 차원: 히키코모리는 노동력 부족, 사회 안전망 부담 증가, 세대 간 갈등 심화 등 사회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사회 참여 감소, 사회적 활력 저하 등 사회 전체의 역동성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한국 히키코모리 해결 방안

한국 히키코모리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정부 차원: 정부는 히키코모리 청년을 위한 사회적 안전망 구축, 정신 건강 상담 및 치료 서비스 확대, 재교육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마련 등의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야 합니다. 또한, 히키코모리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 및 교육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가족 차원: 가족은 히키코모리 청년을 무조건적으로 이해하고 지지하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적절한 치료 및 상담을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청년의 자존감 회복을 위한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노력하고, 사회 참여를 위한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