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신기능저하증 원인과 증상, 진단, 치료

J씨 바보 2024. 7. 15.

 

1. 부신기능저하증이란 무엇인가?

부신기능저하증은 부신이 충분한 호르몬을 생산하지 못하는 질환입니다. 부신은 신장 위에 위치한 작은 기관으로, 코티솔, 알도스테론, 아드레날린과 같은 필수적인 호르몬을 생산합니다. 이러한 호르몬은 신체의 다양한 기능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부신기능저하증은 원인에 따라 1차 부신기능저하증과 2차 부신기능저하증으로 분류됩니다.

 

1차 부신기능저하증: 부신 자체에 문제가 발생하여 호르몬 생산량이 감소하는 경우입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자가면역 질환인 원발성 부신피질 기능저하증입니다. 이 밖에도 감염, 부상, 출혈, 종양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차 부신기능저하증: 뇌하수체 또는 시상하부의 기능 저하로 인해 ACTH(부신피질 호르몬 자극 호르몬) 분비가 감소하여 부신 호르몬 생산량이 감소하는 경우입니다. 뇌하수체 또는 시상하부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으로는 뇌하수체 종양, 뇌졸중, 두부 외상, 염증성 질환 등이 있습니다.

 

 

2. 부신기능저하증의 증상

부신기능저하증의 증상은 호르몬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피로, 근육 약화, 저혈압, 체중 감소, 식욕 감퇴, 구토, 설사, 변비, 저혈당, 저나트륨혈증, 색소침착, 우울증, 불안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쇼크, 의식 상실, 사망에 이르기도 합니다.

 

 

3. 부신기능저하증의 진단

부신기능저하증 진단은 증상, 병력, 신체검사, 혈액 검사, 영상 검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혈액 검사: 코티솔, ACTH, 알도스테론, 나트륨, 칼륨 등의 수치를 측정합니다.

 

영상 검사: 뇌하수체 또는 시상하부에 종양이나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MRI 또는 CT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4. 부신기능저하증의 치료

부신기능저하증 치료는 호르몬 대체 요법이 가장 중요합니다. 부족한 호르몬을 인공적으로 보충하여 증상을 개선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코티솔 대체 요법: 가장 중요한 치료이며, 경구용 코티솔 약물을 하루에 한 번 또는 두 번 복용합니다.

 

미네랄 보충: 저혈압, 저나트륨혈증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나트륨, 칼륨 등의 미네랄 보충제를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 치료: 우울증, 불안 등의 정신 증상이 있는 경우 항우울제, 항불안제 등의 약물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댓글